서울의 한 대형 교회의 건축문제가 교계의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습니다. 그 동안 이 교회는 성경공부를 중심으로 한 평신도 운동을 전개하여 한국교회에 큰 영향을 끼쳐왔습니다. 그 결과 한국의 대표적 교회로 성장했고요. 그런데 얼마 전 이 교회가 건축계획을 발표했습니다. 그런데 공사비용이 2천억 원을 넘는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교회 안팎에서 실망과 비판의 목소리가 터져 나온 것입니다. 교회의 기존 이미지와 이번 계획이 도무지 어울리지 않기 때문에 말입니다. 교회의 입장은 간단합니다. 매 주일 5만 여명의 성도들이 예배에 참석하는데 현재의 예배당 규모로는 더 이상 정상적예배가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또한 그 교회가 건축예정지로 매입한 땅이 통일교에서 눈독을 들이던 곳이기 때문에 이단에게 넘겨주기 보다는 정통교회가 차지하는 것이 더 낫다는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성도들은 자선사업을 위해선 헌금을 잘 안 하지만 건축을 위해선 기꺼이 헌금하기 때문에 이번 건축을 추진하게 되었다는 이야기도 들립니다. 상황은 이해가 되지만 그래도 쉽게 축하해줄 수가 없네요. 저는 교회의 대형화 자체를 부정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또 교회건축 자체를 비난할 의도도 없습니다. 그래서 대형교회를 무조건 비난하는 목소리에 저는 쉽게 동의하지 않습니다. 또 교회건축 자체를 불온한 눈으로 바라보는 시각에도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모범적인 목회를 통해 교회가 건강하게 성장하는 것은 장려할 일이지요. 또 예배 참석자들의 수가 증가해서 예배당을 확장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피한 일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현재 한국교회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교회들의 행보에는 아쉬움이 큽니다. 현재 우리가 건축해야 할 예배당은”거대한 헤롯성전”이 아닌”만민의 기도하는 집”이기 때문입니다. 현재 우리가 하나님께 드려야 할 예물은”수천억 원의 돈”이 아닌”산 제물로서 우리의 몸”이기 때문입니다. 현재 우리가 섬겨야 할 주님은”세상을 장악한 돈의 신 맘몬”이 아닌”말구유에 누인 아기 예수”이기 때문입니다. 현재 우리가 추구해야 할 삶은 현실에 대한 영악한 변명 대신 본질에 대한 단호한 결단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떠들썩한 대형교회 건축계획이 반갑지 않습니다. 배덕만 목사